최근 대부분의 오디오 DAC 기기들이 DSD 음원의 네이티브 재생을 지원하고 있어, DSD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DSD와 PCM 기반의 음원에는 디지털 변환 방식에 큰 차이가 있어, 잘못된 감상 방법은 오히려 음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음악을 그대로 감상하기 전에 자신의 환경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감상하는 것이 최상의 음질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Pine Player Pro에서는 다양한 포맷 변환 기능을 제공하며, 최근에는 DSD 음원과 관련된 최적의 변환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들에게 더욱 뛰어난 음질을 경험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PCM에서 DSD로, 그리고 DSD에서 PCM으로의 변환 방법을 소개합니다.

1. PCM to DSD 변환
가지고 있는 FLAC이나 MP3 파일을 DSD(DSF, DFF)로 변환하면 DSD 네이티브 DAC으로 음원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포맷 변환기는 간단히 변환을 수행할 수 있지만, 최고의 보간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변환에는 시간이 상당히 걸립니다. 이때, 멀티 작업 옵션을 활용하면 최대 5개까지 동시에 변환을 진행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CM을 DSD로 변환할 때, 앞뒤로 묵음 Padding을 추가하면 DSD DoP 기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틱 노이즈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DAC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지만, 특정 DAC에서 DoP 재생 시 음질 변형이 발생한다면 적절한 Padding을 추가하여 DAC가 DSD 재생을 위한 준비 시간을 갖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PCM 파일에 포함된 앨범 아트와 곡에 대한 정보도 그대로 DSD(DSF, DFF) 파일로 저장되므로, 나만의 DSD 음원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2. DSD to PCM 변환
구형 PCM 방식의 DAC에서 DSD 음원을 재생할 때는 볼륨 레벨 조절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적절한 노멀라이징이 필요합니다. PCM으로 변환할 때, 상호 보간 필터를 적절히 사용하지 않으면 음질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실시간으로 DSD 음악을 감상하기보다는 포맷 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PCM 기반의 FLAC 파일로 변환 후 재생하는 것이 최적의 상태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ine Player Pro에서는 DSD(DSF, DFF) 음원 파일을 FLAC, MP3, M4A 등 다양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음원 변환 시 Gain을 Normalized하여 최적의 상태로 변환하기 때문에, 작은 볼륨이나 클리핑 현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존하는 최고의 보간 필터를 사용하여 매우 만족스러운 음질로 변환됩니다. 변환에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멀티 작업 기능을 활용하여 최대 5개의 작업을 동시에 실행해 변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결론
PCM과 DSD 음원의 차이를 이해하고, 변환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최고의 음질을 경험하는 열쇠입니다. Pine Player Pro는 다양한 포맷 변환 기능을 제공하여, DSD 음원을 가장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최상의 음질로 감상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각 포맷에 맞는 최적의 설정을 활용하여, 더 나은 음질을 경험해 보세요.
Comments